현몽(appear in a dream) 꿈에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현몽하시고'는 하나님께서 자신을 나타내시는 계시의 방편으로 꿈을 사용하신 경우이다. 택한 백성을 위해서도 하나님께선 꿈으로 계시하셨다(창 28:13-15, 37:5-11, 왕상 3:5, 마 1:18-24). 고대에 현몽은 하나님의 계시의 수단 중 하나로 여겨졌다. 성서에는 아비멜렉의 꿈(창20:3), 라반의 꿈(창31:24), 마리아의 남편 요셉의 꿈(마1:20) 등을 기록하고 있다. KCM > 사전> 성경 용어집 2023.03.02
아비멜렉(Abimelech) 뜻 : 부친과 왕 [1] 그랄 왕으로 아브라함의 아내 사라를 취하여 궁녀를 삼으려고 하다가 여호와가 금지하심으로 사라를 돌려보내고 아브라함과 평화 조약을 체결하였다(창 20:1-21:). [2] 이삭 때의 그랄 왕이니 그도 역시 이삭의 처 리브가를 취하려다가 중지하고 우물로 인하여 분쟁이 있던 것고 화해하고 우호 조약을 체결하였다(창 26:1-11, 23-31). [3] 기드온의 아들로서 첩의 소생이다 그 부친이 죽은 후에 그가 자기의 형제 70인을 죽이고 왕이 되어 3년간 이스라엘을 치리하는중 형제 70인이 살해 당하는 중에서 모면한 요답이 비유로서 세겜 사람을 경고한 후에 세겜 사람들이 가알을 의뢰하므로 아비멜렉이 추격하여 그를 죽이고 성을 헐고 세겜 망대에 있는 사람 1천명을 불살라 죽이고 데베스를.. 성경 용어집 2023.03.02
벤암미(Ben-Ammi) 뜻 : 내 근친의 아들 소돔 멸앙 이후에 롯과 그의 작은 딸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며 암몬 족속의 조상(창 19:30) KCM > 사전> 성경 용어집 2023.03.02
모압(Moab) 뜻 : 아비의 소생 롯의 맏딸과 아버지 롯과의 근친상간에서 태어난 아들(창 19:37)이며 모압 족속의 조상이 되었다. KCM > 사전> 성경 용어집 2023.03.02
아버지(father) 자기를 낳아 준 남자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구약에서는 민족의 조상을 나타내는 말로 '아브라함'은 '이스라엘' 민족의 조상으로 아버지이다(창17:4, 눅 16:24, 요 8:39). 보통 민족의 지도자나 제사장에게도 아버지라고 불렀다(왕하 2:12, 삿 18:19). 신약에서는 '아버지'에 대해서 삼위일체 제1위이신 하나님을 일컫는 말로 주로 사용된다(마 6:9, 갈 4:6, 막 14:36, 눅23:34). 예수님은 하나님을 늘 아버지라고 부르셨다. 그리고 우리에게 '아버지'라고 하나님을 친밀하게 소개해 주셨다(마 6:9). 하나님 아버지와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이셨으며 늘 함께 활동 하셨다(요 14:10). 그러므로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의 온전하심과 같이 너희도 온전하라(마 5:48) 그러므로 너희는.. 성경 용어집 2023.03.02
굴(窟, Cave, Den, Hole) 땅이나 바위가 깊이 파여 속이 비어 있는 것. 석회암이나 사암 지질로 된 팔레스타인 지방은 자연굴과 인공적으로 만든 굴이 많다. 성경에서 굴은 여러 용도로 쓰였다. 갈멜산의 굴에 보여져 있는대로, 석기시대의 주거는 이들 동굴이었다. 청동기 시대에는 무덤이나 저장고 또는 수조(水措)로서도 사용되었다. 롯의 이주에 있어서도 임시 거처로 씌어지고(창 19:30롯과 그 딸들, 왕상 19:9 엘리야), 가축의 우리로서도 이용되었다(삼상 24:3). 또한 보통 자연묘(自然墓)로서, 매장을 위해서도 이용되었다. 예컨대, 아브라함 소유의 묘지로서의 막벨라굴(창 23장, 49:29), 롯은 소알에 거하기를 두려워하여 두 딸과 함께 굴에 거했다(창 19:30). 이세벨이 선지자들을 죽이려 할 때 오바댜는 100명의 선지자.. 성경 용어집 2023.03.02
놈(fellow) 상대방을 낮추거나 비난할 때 쓰는 말. 소돔 사람들이 롯의 집에 와서 찾아온 천사들을 내놓으라고 하면서, 롯을 '이놈'이라고 말했다(창 19:9). 개역성경, 개역개정에서는 '놈'이라고 쓰기보다는 의역하여 쓴 경우가 많다. 다음의 경우에 그에 해당된다(삼상 21:15, 왕하 9:11, 마 12:24, 26:61, 눅 23:2, 행 24:5). KCM > 사전> 성경 용어집 2023.03.02
거리(Street) 길 거리의 준말로서, 사람이 많이 왕래하는 길을 말한다. 구약시대에는 성벽 밖에 넓은 광장 거리가(창 19:2) 성문 가까이에 있었으므로 '문 앞 광장' 또는 '수문앞 광장'으로도 불리우고 있다(느 8:1, 3, 16). 이곳은 시민의 집합장소이기도 했다(신 13:16 거리, 애 4:5 광장).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로서 시민생활에는 중요성을 가지고 있었다(욥 29:7, 사 59:14, 렘 5:148:38, 49:26, 단 9:25, 암 5:16). 신약시대에는 그리스, 로마풍의 계획적으로 설계된 도시가 발달되어 있었으므로, '아고라'로서 알려진 광장이 있었는데 복음서에 '장터', '저자'로 번역되었다(마 11:16, 23:7, 막 6:56, 12:38, 눅 7:32, 20:46). KCM > 사전> 성경 용어집 2023.03.02
공의(公義, Justice) 하나님의 속성중의 하나이다(창 18:25, 욥 8:3, 37:23, 사 30:18). 공의는 하나님의 속성(사 30:18) 중의 하나로 모든 사람을 외모로 취하지 아니하시며 공의로서 대하신다(신 32:4, 단 9:14, 습 3:5). 하나님은 공의를 굽게 하시지 않으시며(욥 8:3, 34:12), 공의로 판단하시고(렘 11:20, 시 146:7), 마지막에도 공의로 세계를 심판하신다(창 18:25, 시 9:8). 공의 또는 정의에 해당하는 히브리어는 '미쉬파트(mishpat)', '체다카(tsedaqah)', 헬라어는 '디카이오쉬네(dikaiosyne)' 등이다. 하나님의 공의란, 그 절대 공정하심과 정의로우심을 뜻하고, 하나님은 이것을 사랑하신다(시 37:28, 99:4, 사 61:8, 62:2). 또.. 성경 용어집 2023.03.02